콘텐츠시작
물놀이 안전사고 주의사항 알림 - 알림사항 게시물 보기
물놀이 안전사고 주의사항 알림
작성일2013/07/26/ 작성자 재난안전과 조회수2024 행정번호051-709-4635

 


 □ 물놀이 활동시 지켜야 할 사항



 ◀ 물놀이 10대 안전수칙 ▶



  ○ 수영을 하기 전에는 손, 발 등의 경련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한다.



  ○ 물에 처음 들어가기 전 심장에서 먼 부분부터(다리, 팔, 얼굴, 가슴 등의 순서) 물을 적신 후 들어간다.



  ○ 수영도중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질 때에는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휴식을 취한다.



    ※ 이 경우는 다리에 쥐가 나거나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 상당히 위험한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주의한다.



  ○ 물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다.



  ○ 구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안전구조 이전에 무모한 구조를 삼가해야 한다.



  ○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 구조에 자신이 없으면 함부로 물속에 뛰어 들지 않는다.



  ○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가급적 주위의 물건들(튜브, 스티로폼, 장대 등)을 이용한 안전구조를 한다.



  ○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나, 몹시 배가 고프거나 식사 후에는 수영을 하지 않는다.



  ○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하여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.



  ○ 장시간 계속 수영하지 않으며, 호수나 강에서는 혼자 수영하지 않는다.



 ◀ 물에 들어갈 때 지켜야 할 사항 ▶





  ○ 준비운동을 한 다음 다리부터 서서히 들어가 몸을 순환시키고 수온에 적응시켜 수영하기 시작한다.



  ○ 초보자는 수심이 얕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.



    ※ 물놀이 미끄럼틀에서 내려온 후 무릎 정도의 얕은 물인데도 허우적대며 물을 먹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으므로 절대 안전에 유의한다.



  ○ 배 혹은 떠 있는 큰 물체 밑을 헤엄쳐 나간다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않는다.



    ※ 숨을 마신 상태에서 부력으로 배 바닥에 눌려 빠져 나오기 어려울 때는 숨을 내뱉으면 몸이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배 바닥에서 떨어져 나오기 쉽다.



  ○ 통나무 같은 의지물이나 부유구, 튜브 등을 믿고 자신의 능력 이상 깊은 곳으로 나가지 않는다.



    ※ 의지할 것을 놓치거나 부유구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.



  ○ 수영 중에 “살려 달라”고 장난하거나 허우적거리는 흉내를 내지 않는다.



    ※ 주위의 사람들이 장난으로 오인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.



  ○ 자신의 체력과 능력에 맞게 물놀이를 한다.



    ※ 물에서 평영 50m는 육상에서 250m를 전속력으로 달리는 것과 같은 피로를 느낀다.



  ○ 껌을 oo나 음식물을 입에 문채로 수영하지 않는다.



    ※ 기도를막아 질식의 위험이 있다



 ◀ 어린이 물놀이 활동시 유의사항 ▶



  ○ 어른들이 얕은 물이라고 방심하게 되는 그곳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.



  ○ 거북이, 오리 등 각종 동물 모양의 튜브나 보행기 등 다리를 끼우는 방식의 튜브사용은 뒤집힐 경우 아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머리가 물속에 잠길 수 있다.



  ○ 보호자의 활동 범위내에서만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, 어린이는 순간적으로 익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



  ○ 어린이와 관련된 수난사고는 어른들의 부주의 및 감독 소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.



  ○ 인지능력 및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손을 뻗어 즉각 구조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독해야 한다.



  ○ 활동 반경이 넓어지는 만 6~9세 이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통제권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므로 사전 안전교육 및 주의를 주어 통제한다.



 



 □ 상황별 대처요령



 ◀ 파도가 있는 곳에서 수영할 때 ▶



  ○ 체력의 소모가 적도록 편안한 마음으로 수영한다(긴장하면 그 자체로서 체력소모가 발생한다).



  ○ 머리는 언제나 수면상에 내밀고 있어야 한다.



  ○ 물을 먹지 않으려고 기를 쓰고 참기보다 마시는 쪽이 오히려 편안한 경우도 있다.



  ○ 큰 파도가 덮칠 때는 깊이 잠수할수록 안전하다.



  ○ 큰 파도에 휩싸였을 때는 버둥대지 말고 파도에 몸을 맡기고 숨을 중지해 있으면 자연히 떠오른다.



  ○ 파도가 크게 넘실거리는 곳은 깊고 파도가 부서지는 곳이나 하얀 파도가 있는 곳은 일반적으로 얕다. 또 색이 검은 곳은 깊고, 맑은 곳은 얕다.



  ○ 간조와 만조는 대개 6시간마다 바뀌므로, 조류변화 시간을 알아두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. 조류가 변할 때는 언제나 흐름이나 파도, 해저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.



  ○ 거센 파도에 밀려났을 때는 파도에 대항하지 말고 비스듬히 헤엄쳐 육지를 향한다.



 ◀ 수초에 감겼을 때 ▶



  ○ 수초에 감겼을 때는 부드럽게 서서히 팔과 다리를 움직여 풀어야 하고, 만약 물 흐름이 있으면 흐름에 맡기고 잠깐만 조용히 기다리면 감긴 수초가 헐겁게 되므로 이때 털어 버리듯이 풀고 수상으로 나온다.



  ○ 놀라서 발버둥 칠 경우 오히려 더 휘감겨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여유를 가지고 호흡하며, 서서히 부드럽게 몸을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꾸준히 헤엄쳐 나온다.



 ◀ 수영 중 경련이 일어났을 때 ▶



  ○ 경련은 물이 차거나 근육이 피로할 때 가장 일어나기 쉽고, 수영 중 흔히 이러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.



  ○ 경련이 잘 일어나는 부위는 발가락과 손가락이고 대퇴 부위에서도 발생하며, 식사 후 너무 빨리 수영을 하였을 때에는 위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.



  ○ 경련이 일어나면 먼저 몸의 힘을 빼서 편한 자세가 되도록 하고(당황하여 벗어나려고 하면 더 심한 경련이 일어난다.) 경련 부위를 주무른다. 특히 위경련은 위급한 상황이므로 신속히 구급요청을 한다.



 ◀ 물을 건널 때 ▶



 










 하천이나 계곡 물을 건널 때는



 


 



  ○ 물결이 완만한 장소를 선정하여, 가급적 바닥을 끌듯이 이동하고, 시선은 건너편 강변 둑을 바라보고 건너야한다.



  ○ 이동 방향에 돌이 있으면 가급적 피해서 간다.



  ○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수심을 재면서 이동한다(지팡이를 약간 상류 쪽에 짚는다).



  ○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되 물살이 셀 때는 물결을 약간 거슬러 이동한다.



 










무릎 이상의 급류를 건널 때는




 



  ○ 건너편 하류 쪽으로 로프를 설치하고 한 사람씩 건넌다.



  ○ 로프는 수면위로 설치한다. 로프가 없을 경우는 여러 사람이 손을 맞잡거나 어깨를 지탱하고 물 흐르는 방향과 나란히 서서 건넌다.



 ◀ 물에 빠졌을 때 ▶



  ○ 흐르는 물에 빠졌을 때는 물의 흐름에 따라 표류하며 비스듬히 헤엄쳐 나온다.



  ○ 옷과 구두를 신은 채 물에 빠졌을 때는 심호흡을 한 후 물속에서 새우등 뜨기 자세를 취한 다음 벗기 쉬운 것부터 차례로 벗고 헤엄쳐 나온다.



 ◀ 침수ㆍ고립 지역에서의 행동 ▶



 










 침수지역에서의 행동은




 



  ○ 부유물 등을 이용하며, 특히 배수구나 하수구에 빠지지 않도록 유의한다.



  ○ 도로 중앙지점을 이용하고 가급적 침수 반대 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한다.



 










 고립지역에서의 행동은




 



  ○ 자기 체온 유지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, 무리한 탈출 행동을 삼가한다.



  ○ 가능한 모든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 신호를 한다.(옷이나 화염을 이용)



  ○ 가능하다면 라디오나 방송을 청취하여 상황에 대처한다.



 ◀ 보트를 탈 때 ▶



  ○ 보트를 탈 때에는 도크나 강변에 나란히 대놓고 안정시킨 상태에서 선미 쪽에서 양손으로 뱃전을 잡고 용골위의 바닥으로 발을 천천히 옮긴다.



  ○ 배안에서 균형이 잡히면 중심을 낮춘 자세로 자리를 이동한다.



  ○ 보트에서 내릴 때는 탈 때와 반대로 하고 뒷발이 배를 강 쪽으로 밀지 않도록 유의한다.



  ○ 물속으로 떨어졌을 때는 즉시 수면으로 올라와 배를 붙잡아야 하고 잠시 휴식한 후 선미 쪽으로 돌아와서 몸을 솟구쳐 상체부터 올려놓는다.



  ○ 모든 승선자는 구명동의를 착용해야 한다.



 ◀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 할 때 ▶



  ○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할 때는 물이 흘러간 가장 높은 흔적보위쪽에 위치하도록 하고, 대피할 수 있는 고지대와 대피로가 보된 곳을 선정하며, 또한 낙석 및 산사태 위험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.



 



   물놀이 안전사고 발생시 즉시 119(해상 122)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. 




목록

최종수정일2023-09-14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
입력
방문자 통계